본문 바로가기

정치철학

스튜어트 밀, 자유론_개인의 개별성을 보호해야 하는 이유


전제1 천재들은 개별성을 가꿀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천재는 자유 공기 속에서만 자유롭게 숨을 있다. 천재 성상람들보다 개인적이기문에, 인이 자기 기분대로 살아가지 못하도록 사회가 쳐놓은 작은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람들보다 어려워한다. [각주:1]

 

전제2 평범한 사람들은 겉으로는 천재들을 존경하지만, 천재들을 공감하지 못한다.

 사람들은 감동적인 쓰고 멋있는림을 있는 천재 아주 좋게 생각한다. 그러나 거람들이, 실제로 음속 깊은 곳을 들여다보면 독창성이 없어도 있다고 생각한다. 들이 어떻게 있겠는가?     

 

전제3 오늘날 여론은 평범한 사람들에 의해 지배된다.

 오늘날에는 … 대중masses만이 권력자라는 말에 어울리는 유일한 존재가 되었다. 대중이 이제는 이상 교회나 국가의 유명 인사, 저명한 지도자들을 따라 하거나, 또는 책에 나오는 내용에 따라 자신들의 생각을 정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전제4 평범한 능력을 갖춘 사람들은 그저 그런 사회/정부만 만든다.

 내가 이런 일들을 불만스러워한다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평범한 사람들이 움직이는 정부가 평범한 정부가 되는 것을 피할 길이 없다는 있다.  그저 그런 정도의 능력밖에 갖지 못한 다수 보통 사람들의 주장이 점점 압도적인 힘으로 세상을 지배하는 요즘 같은 .. 여론의 전제가 심하다.

 

전제5 오늘날 평범한 사람들에 의해 지배되는 여론은 개별성을 지양하는 환경을 추구한다. 이러한 환경은 천재들이 스스로를 가꿀 있는 환경을 파괴한다.

 강한 성격이 충만할 거기에서 남다른 개성이 꽃핀다. 일부 용기 있는 사람들만이 그런 개성을 발휘할 뿐이다.

 

결론 독창적인 성격을 지닌 사람들이 천재가 되기 위해서, 여론은 개인의 개별성을 파괴하지 않아야 한다. 물론, 평범한 일반인들이 여론을 지배하는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다.

 

 


전제1

  온갖 종류의 식물들이 똑같은 물리적 환경과 대기, 그리고 기후 조건 속에서 없듯이, 인간 또한 똑같은 도덕적 기준 아래에서는 건강한 삶을 누릴 없다. 각자의 경우에 맞는 다양한 삶의 형태가 허용되지 않는다면, 인간은 충분히 행복해질 없다.

 

어떤 사람, 특히 여자가 '아무도 하지 않는 것을 한다'든가 또는 '남이 하는 것을 한다', 마치 사람이 아주 심각한 도덕적 잘못을 저지르기나 것처럼 비난의 대상이 된다.

 

보통 사람들은 지적인 면뿐만 아니라 취향도 덤덤한 편이다.

박애주의자라는 사람들은 이웃을 도덕적이고 사려 깊은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 애쓰고 있다.

어느 것도 열망하지 않는 것이 바로 기준이다.

 

관습의 전제는 자유를 막는다.

자유로운 환경 하에서 개선이 가능하다.

나라들은 그러나 지금은 어떤가? 그들의 관습이 자유와 발전을 가로막았다는 있다.

전제 영국이 발전할 있었던 까닭은, 자유로운 환경이 일부 있었기 때문이다.

 중국이 초기에는 발전된 나라였으나, 개인의 다양성을 기피했기 때문에 이상 발전할 없었다.

 

 오늘날 환경은 사람들 사이의 유사성을 촉진한다.

희망이나 두려워하는 것도 서로 닮아간다. 교육이 사람들을 비슷한 영향권 아래에 들게 하고, 나아가 비슷한 사실과 감정을 접하기 쉽게 만들기 때문이다. 상업과 제조업의 발달은, 심지어 최고 수준의 목표에 대해서도 똑같은 야망을 품을 있게 만들었다.



주장 개인의 개별성이 중요한 이유는, 어떤 사람이 자기 방식대로 사는 자체가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자기 방식대로his own mode 사는 길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1. 스튜어트 밀, 자유론, 책세상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