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고 학생들의 '관짝 소년단' 패러디는 비도덕적이지 않다. 의정부고 학생들이 졸업 사진을 위해 '관짝 소년단'을 패러디했다. 이 도중, 그들이 얼굴을 검게 칠했다. '관짝 소년단'의 멤버들은 흑인인데, 학생들은 이들을 따라하기 위해 얼굴을 검게 칠한 것이다. 바로 이 행위 때문에, 학생들의 행위가 '인종 차별'인지 아닌지에 대해 논란이 일었다. 그들의 행위가 인종차별인지 여부는 중요한 문제인데, 왜냐하면 그 행위가 인종차별이라면, 비도덕적 행위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학생들이 '관짝 소년단'을 따라하기 위해 얼굴을 검게 칠한 행위는 '인종차별'이라고 보기 어렵다. 학생들의 행위가 인종차별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그 행위가 특정한 맥락에서 해석되어야만 한다. 흑인에 대한 백인들의 인종 차별의 일환으로 백인들은 흑인의 피부색을 따라하기 위해 자신들.. 더보기 도덕, 가치에 대한 저급한 사고 세속적인 욕구를 정당화하기 위해, 또는 타인의 고양된 행위를 깎아내리기 위해 어떤 이들은 흔히 다음과 같은 문장들을 사용한다. a.'모든 사람은 이기적이다', '모든 이는 자기의 행복을 바란다' 등. 위와 같은 문장들이 그저 사실의 기술을 목적으로 발화된 것이 아니라면, 다음과 같은 주장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기 위함일 것이다. P. '따라서, 당신의 현재 행위는 충분히 이기적이지 않다.' , '당신의 행위는 당신의 행복을 위한 최선의 전략이 아니다' 그리고 b.와 같은 주장들이 함의하는 바는 결국 다음과 같다. C '따라서 당신의 행위는 잘못되었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이기적이지 않게 행동하는 사람들이 있다. 자신에게 이익이 되지 않을 것을 행위가 무엇인지 알면서도 그것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와 같.. 더보기 H.Frankfurt, 『사랑의 이유』, Ch1 _summary Frankfurt_사랑의 이유_Ch1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_Summary 6 '어떤 것을 마음 쓰는 일'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진짜로 마음 쓰지 않는다'의 의미하는지 답해보자. 우리가 친구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일전의 계획 A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을 가정하자. 우리는 그 친구가 부담없이 도움을 요청하길 바란다. 그래서 우리는 그에게 원래의 계획 A는 우리가 진짜로 마음 쓰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이러한 상황은 두 가지 Case로 구분된다. Case1 우리가 계획 A를 세우도록 이끈 관심/욕구를 전혀 포기하지 않고 A를 포기한다. 친구를 돕기 위해 A를 포기했어도, A를 이끈 관심과 의도는 여전하다. 우리가 A를 포기한 이유는 단지 A를 이끈 관심/욕구가 친구를 도와주려는 욕구보다 더 낮은 우.. 더보기 이전 1 2 3 4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