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윤리학

'본래적 가치Intrinsic value'

윤리학_본래적 가치_Paul Tayler_『윤리학의 기본원리』

Q1.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와 도덕과 무관하게 좋은 것의 관계는 어떠한가? 도덕적 행위는 좋은 것과 논리적으로 필연적인 관계를 가지는가? 이 질문에 대해 다음 두 가지 대답이 가능하다. (1)도덕적 행위와 좋은 것은 논리적으로 필연적인 관계를 가진다 또는 (2)도덕적 행위와 좋은 것은 논리적으로 독립적이다. (1)의 대답 은 다시 '도덕적 행위가 좋은 것에 의존한다'거나 또는 그 반대라는 두 가지 답으로 나뉜다. 그 중에서도 '도덕적 행위는 좋은 것에 의존한다'는 주장은 목적론적 윤리체계(결과주의)에 의해 지지된다. 목적론적 윤리체계를 대표하는 윤리이론은 바로 '공리주의'이다. '공리주의'는 다시 '행위 공리주의' '규칙 공리주의'로 나뉜다. '행위 공리주의'의 경우 개별 행위의 도덕성 판단 기준은 그 행위가 선택가능한 모든 행위 중에서 가장 큰 본래적 가치를 일으키는지 여부에 있다. '규칙 공리주의'의 경우 개별 행위의 도덕성 판단 기준은  그 행위가 해당되는 규칙이 다른  모든 규칙 중에서 가장 큰 본래적 가치를 일으키는지 여부에 있다. 따라서 '행위 공리주의' '규칙 공리주의' '옳고 그름'의 기준은 개별 행위 자체 또는 개별 행위의 종류(또는 그 개별 행위가 예시화한다고 생각되는 형식)가 아니라 개별 행위가 발생시키는 결과에 있다. '공리주의'는 개별 행위가 야기하는 결과가 '좋은가?' 또는 '나쁜가?'라는 기준에 근거해서 그 행위의 최종적인 도덕성('옳다' 또는 '그르다'는 판단)을 판단한다. 

 요약하면, '공리주의'에서 '임의의 행위 A는 도덕적*이다'의 참/거짓 여부는 '행위 A가 발생시키는 결과의 '좋음' 또는 '나쁨' 여부에 전적으로 의존하며 A 자체의  도덕성**과는 완전히 독립적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도덕성*  결과의 '좋음', 또는 '나쁨'이라는 가치***에 논리적으로 의존하며,  후자의 가치***는 도덕**과는 무관하다고 말한다. 

*'최종적 도덕성' 

**'자체의 도덕성' = ‘도덕적 가치

***'도덕과 무관한 가치' = ‘본래적 가치

 따라서 '공리주의'에서 '최종적 도덕성'의 인식은 '도덕과 무관한 가치'의 인식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 의미론적 이해: ** ***의 개념적 구분 가능

 Q1에 대한 두 번째 대답은 '도덕적 행위와 좋은 것은 논리적으로 독립적이다.'였다. 이러한 대답은 '의무론적 윤리이론'에 의해 지지된다. '의무론적 윤리이론'에서 개별 행위의 도덕성 판단 기준은 그 행위의 종류가 '궁극적 도덕 원리'와 일치하는가 여부에 있다. 따라서 '의무론적 윤리이론'에서 '옳거나 그름'의 기준은 개별 행위가 발생시키는 결과의 '좋음' 또는 '나쁨'이 아니라, 개별 행위 자체의 성격/종류에 있다. '의무론적 윤리이론'은 개별 행위 자체가 '옳은가' 또는 '나쁜가?'라는 기준에 근거해서 그 행위의 최종적인 도덕성을 판단한다. 

 요약하면, '의무론적 윤리이론'에서 '임의의 행위 A는 도덕적*이다'의 참/거짓 여부는 '행위 A 자체' '옳음' 또는 '그름'** 여부에 전적으로 의존하며 A가 야기하는 결과의 '좋음' 또는 '나쁨'***과는 완전히 독립적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도덕성* '도덕과 무관한 가치***는 논리적으로 서로 독립적이며, 후자의 가치*** '행위 자체의 도덕성**'과 무관하다고 말한다.

 따라서 '의무론적 윤리이론'에서 개별 행위의 '최종적 도덕성'의 인식은 '도덕적 가치'의 인식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목적론이든 의무론이든 '도덕적 가치' '도덕과 무관한 가치'는 의미에 있어 서로 다른 것이다.

 

S1 '본래적 가치'의 개념

 Q1.과 관련된 문제, 즉 최종적 도덕성*과 도덕과 무관한 가치*** 사이의 관계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우리는 '도덕과 무관한 가치'의 개념에 대해 철저히 탐구해야만 한다. '도덕과 무관한 가치' '본래적 가치'라 하는데, 과연 [1]'본래적 가치'란 무엇이며 [2]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1]'본래적 가치'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은 다음 네 가지 견해로 구분된다.

‘X는 본래적 가치를 갖는다(사람 P에 의해).’ 

iff (ⅰ) X는 그 자체로서 추구되거나 목적 자체로서 욕구된다(P에 의해).

iff (ⅱ) X의 가치가 X의 결과 또는 다른 것들 간의 관계에 있다기보단 X의 본질에 있다.

iff (ⅲ) X의 가치가 X에 속하는 비자연적 객관적 속성이다.

iff (ⅳ) X의 가치는 비파생적이다.

(ⅰ)~(ⅳ)를 각각 살펴보자

(ⅰ)사람이 바라는 모든 것은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 사람이 목적 자체로서 바라는 것. 둘째, 목적에 대한 수단으로 바라는 것. 셋째, 사람이 목적 자체로서 그리고 더 높은 목적에 대한 수단으로서 바라는 것이다. 한 사람이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를 원하는 이유는 그 목적이 또다시 더 높은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되는것과는 상관없이 그 목적 자체가 자신에게 만족스럽거나 즐길 만한 것이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 사람은 그 목적을 그 자체로 원한다. 반면에 어떤 것은 그것 없이는 다른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그가 원하는 것이 된다. 그러한 것은 그것 없이도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원하지 않게 될 대상이다. 이때, 그러한 것은 그 자체를 위해서 추구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목적을 위해 추구된다고 말한다. 그러한 것은 목적에 대한 수단으로서만 가치있다고 하지 목적 자체로서 가치있다고 하지 않는다.

이로써 개별 인간이 원하는 것/추구하는 것은 '목적으로서 좋은 것'  '수단으로서 좋은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목적으로서 좋은 것'이 바로 본래적 가치이며, '수단으로서 좋은 것'이 외래적 가치이다. 사람들이 어떤 것을 목적 자체로서 바라고 그것 자체를 위하여 추구한다면 그것은 본래적 가치를 갖는다. 그렇다면 사람은 무엇을 목적 자체로서 바라는가? 모든 사람이 목적 자체로서 유일하게 바라는 것은 오직 '행복'밖에 없다고 스튜어트 밀은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4절에서 다시 살펴볼 것이다.

 (ⅰ)의 정의에 대한 비판 중 하나는 '사실판단' '가치판단'은 서로 다른 것이라는 전제로부터 시작되는 비판이다. '사람 P X를 그 자체로서 추구/욕구한다.'라는 진술은 사실판단이다. 반면에 'X는 본래적 가치를 가진다'라는 진술은 가치판단이며 앞선 사실판단으로 교체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두 진술 형식을 가진 각각의 구체적인 문장을 살펴보자.

(1) 사람 P '타인에 대한 절대적인 권력을 갖는 것'을 목적 자체로서 추구한다.

(2) 누구라도 '타인에 대해 절대적인 권력을 갖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본래적으로 나쁘다)

 어떤 한 사람은 위의 (1) (2)를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한 채 동시에 주장 가능하다. 왜냐하면 (1)은 사람 P가 실제로 어떤 것을 '바란다/바라지 않는다'는 것을 표현하는 진술이고, (2)는 그것이 '바람직하다/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평가하는 진술이기 때문이다. 전자는 '사실판단', 후자는 '가치판단'이라 한다. '사실판단' '가치판단'은 서로 독립이다

 그런데 만약  (ⅰ)의 정의에 따라서 '본래적 가치를 가진다' 또는 '바람직하다' 또는 '본래적으로 좋다' '어떤 사람에 의해 그 자체로서 추구된다'로 교체될 수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위의 문장 (2)는 다음과 같이 교체된다

(2-1) 누구라도 타인에 대해 절대적인 권력을 갖는 것은 바라지 않는다

그런데 (2-1)은 앞서 제시된 문장 (1)과 논리적으로 서로 모순이다. 따라서 (1) (2-1)은 동시에 주장될 수 없는데 이것은 우리의 상식에 어긋난다

따라서 'X는 본래적 가치를 가진다'라는 가치판단은 'X는 그 자체로서 추구된다'라는 사실판단으로 교환/정의될 수 없다.

('사실 판단' '가치 판단'은 구분된다는 전제에 기초하여 정의 (ⅰ)에 대한 반론의 가능성을 제시하려는 저자의 의도는 이해한다. 하지만 이를 위해 문장 (1) (2)를 드는 것은 발제자에게 적잖은 혼란을 일으킨다. 왜냐하면 '바람직하다'는 표현은 분명히 문장(2)에서 '본래적 가치'***로서가 아니라 '최종적 도덕성*의 의미를 가지는 용어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ⅱ)본래적 가치에 대한 번째 정의는 우리가 어떤 것에 만족감을 느끼거나 '좋다' 말하는 이유는 가지로 분류된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1)그것의 본질 때문에 좋다고 하는 경우와 (2)그것의 결과 또는 다른 것과 관계 때문에 좋다고 하는 경우가 바로 그것이다. 사람 P 테니스를 치는 데서 만족감을 느낀다. 또한 P 테니스를 치는 이유는 돈벌이를 위해서도, 건강을 위해서도, 사회적 교류를 위해서가 아니라 단지 테니스 치는 것을 즐기기 때문이다. 돈벌이, 건강, 사회적 교류 등은 테니스 치는 것의 결과 또는 관계이다. 이때 P 테니스 치는 것을 다른 것을 위한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그것 자체로서 가치있다고 말할 있다. 누군가가 P에게 테니스 치는 것이 '좋은지', '바람직한지' 묻는다면 그는 '테니스가 테니스이기 때문에' 또는 '테니스가 바로 그러한 종류의 '이기 때문에, '테니스는 짜릿하고 자극적'이기 때문이라고 답할 것이다. 주의할 점은 '테니스를 함으로써 얻는 쾌락' 또한 '효과/결과' 아니라 '테니스를 목적 자체로서 한다' 말과 같은 의미라는 것이다.

어쨌든 테니스 자체가 갖는 속성 때문에 P 테니스가 '좋다' '가치있다' 말한다. 테니스가 '좋다', '가치있다' 말하는 것처럼 우리는 다른 일반적인 경우에도 어떤 것이 자체가 갖는 속성 때문에 그것이 가치있다고 말한다. 우리는 X 대하여 X 결과 또는 다른 것과 갖는 관계 때문이 아니라(=외래적 속성) 자체의 속성(=본래적 속성) 때문에 '가치있다' 판단한다. 그리고 오직 경우에만 'X 본래적 가치를 가진다' 말한다

   

 (ⅲ)의 입장은본래적 가치는 마치 경험적 속성이 사물에 속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사태/사물에 속하는 객관적 속성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경험적 속성이 사물에 속하는 것과본래적 가치가 어떤 것에 속하는 것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자연적 속성은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할 수 있는 명제이다. ‘경험적 속성자연적 속성이라고 하는데 이 속성은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X는 자연적 속성이다    = X는 경험적 속성으로서 사물에 속한다

= X는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하다

= X에 관한 진술은 관찰로부터 얻어지며, 관찰로부터 근거한 사례로 반박 가능하다.

한편, (ⅲ)의 입장은본래적 가치비자연적 속성이라고 하는데 이 속성은 다음과 같이 이해된다.

‘X는 비자연적 객관적 속성이다    =X는 궁극적 속성이다.

=X는 경험적 속성으로 분석/정의(환원)될 수 없다.

=X에 관한 진술은 관찰로 얻은 사례로 반박되지 않는다.

본래적 가치가 자연적 속성인 경우와 비자연적 속성인 경우 모두 ‘X는 본래적 가치이다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은 어떤 객관적 사실/가치에 대한 우리의 믿음이며 따라서 X에 대한 판단은 참 또는 거짓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에 대해서는 제8가치와 사실에서 다룰 것

다음으로 (ⅰ)~(ⅳ)의 논리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ⅳ)가 참이면 (ⅰ), (ⅱ)도 참이다. (ⅳ)가 참이라고 해서 (ⅲ)가 참이 되는 것은 아니다.

[2] 그렇다면 이러한 정의들에 따른본래적 가치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

(ⅲ)에서 제시된 비자연적 속성으로서의본래적 가치직관을 통해 알 수 있다.

(ⅰ) (ⅱ) (ⅳ) 에 따른본래적 가치는 경험적 속성이다. 자연적 속성으로서의본래적 가치는 지각 또는 귀납 추론으로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