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n Mallon 2016, Oxford
우리는 타인을 특정 범주들로 구별한다. 남성과 여성 등.
§1 사회구성주의란 무엇인가?
정의1 X는 사회적으로 구성 된다 =df X의 존재, 지속, 특성은 인간의 정신상태, 결정, 문화 또는 사회적 실천에 의해 인과되거나 구성된다.
Section 2
정의2 표상representation =df 그것을 통해 우리가 세계를 표상하고 행동을 조직하는 태도, 이론, 묘사
정의3 범주 =df 우리가 지칭하거나 이론화하려는 세계의 속성properties 또는 종kinds
정의4 종 =df 성공적인 이론 안에 포함되기에 충분히 중요한 범주
종의 상대성에 대하여_객관적인 종도 있으나 상대적인 종도 있다. 상대적이라 할지라도 유용할 수 있다.
Section 3 표상 구성하기
철학에서 “명제 태도”라 함은, 어떤 명제에 대해 믿거나 바람/욕구desire하는 태도를 말한다.
(1) 성당의 울타리가 내년에 다시 칠해져야 할 것이라고 믿는다.
(2) 그 누구도 겨울 독감에 걸리지 않기를 바란다.
그러한 명제태도에서는 사람을 명제와 관련케 한다.
(3) Zahra believes that the train will be here soon.
위 예시 (3)에서 “the train will be here soon”이란 표상을 언급utering함으로써 Zahra와 관련맺는 명제는 표현하는 것이다.
“명제태도”란 명제에 관한 태도이다. 필자는 이것을 명제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의미나 매개체 또는 수단으로 확장시키고자 한다. 태도 역시 믿음, 욕구 뿐만 아니라 비-믿음이면서 믿는 것 같은 태도들 –내포/절대적 태도—까지 포함시키고자 한다.
필자는 뒤에 그러한 태도들이 인간의 문화, 사회적 실천에 의해 인과적으로 설명되는 경우들을 고찰할 것이다. 이러한 고찰의 목적은 왜 특정 표상이 개인과 집단에게 매개체가 되는지 설명하는데 있다.
Section 4 범주 구성하기
범주는 세계 속에 예시된 속성/종이다. 다음은 “표상에 대한 사회구성주의”와 “범주에 대한 사회구성주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이다.
(1) Dual Constructionism 인간 종 범주가 사회적으로 구성되었다고 생각하는 자들은 그러한 범주에 대한 표상 역시 사회적으로 구성되었다고 생각한다.
(2) 동시적 구성tandem construction 표상과 범주는 동시에 생겨난다.
(3) 표상적 제어representational control 범주는 표상에 의해 전적으로 구성된다. 우리가 표상을 바꿀 수 있다면, 범주 체계도 바꿀 수 있다.
(4) 기술-필연적 범주 구성necessary-description category construction 어떤 범주가 가능한 이유는 그 범주에 대한 기술이 명시되기 때문이다.
(5) 인간종 구성the construction of human kinds 종race, 성gender, 질병illness 같은 종 또한 사회적으로 구성된다.
(6) Revelatory Aim 범주 구성주의의 목적은 우리가 자연적 범주로 알고 있던 것들이 실제로는 인간에 의해 구성된 것이라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다
(7) 성공적 지칭 표상이 실제로 지칭하는 것은 (특정 집단이 아니라) 그것을 구성함에 있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범주들이다.
Section 5 Overview
Part1에서는 사회적 규칙에 따라 인간종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구성되는지 살펴본다.
5.1. Part1의 내용
자연적이라 생각되는 생물학적 성sex, 사회적 성gender, 감정 등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인가?
1권의 1장에서 필자는 인간의 범주가 전적으로 구성된다는 주장에 반대하기 위해, 인간의 범주의 몇몇 핵심 특징들은 비-구성적이라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이것은 “혼성 구성주의hybrid constructionist”적 접근이라 불린다. 이러한 접근은 “인종에 대한 표상은 현대에 새로이 발명된 것인가?”란 질문에 답하면서 구체화하고자 한다. 본질주의에 대한 진화-인지과학적 설명을 근거로 하여, 인종/집단에 대한 본질주의적 해석이 세상에 만연한 이유는 바로 인간 일반이 관찰 대상을 본질주의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성향으로써 가지기 때문이라고 답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범주/표상이 있다는 믿음 없이 심리학적 규제를 통하여 인간 범주에 대한 표상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과학철학 > Summ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증주의 (0) | 2018.04.27 |
---|---|
Mallon,『The Construction of Human Kinds』_Part1_Ch1_§3 (0) | 2017.12.21 |
Mallon,『The Construction of Human Kinds』,_Part1_Ch1_S2 (0) | 2017.12.18 |
Mallon,『The Construction of Human Kinds』,_Part1_Ch1_S1 (0) | 2017.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