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철학/Summary

확증주의 증거 e로부터 가설 h가 성립한다: dev.e(h) Hempel's Comfirmation("HC") e contains constants only (ⅰ)e Hempel-confimrs h ⇔ e entails dev.e(h) (ⅱ)e indirectly Hempel-confirms h ⇔ e entails dev.e(s) for some s, which entails h Raven's Paradox Let h=For every x, If Rx then Bx & e= Ra∧Ba Then e does Hempel-confirm h by HC. Let e* = -Ba∧-Ra &h* = For every x, if -Bx then -Rx Then e* confirms h* by HC. &h* entails h.. 더보기
Mallon,『The Construction of Human Kinds』_Part1_Ch1_§3 앞절에서 제시된 관찰사례들은 인종본질주의적 사고에 대한 진화인지과학자들의 설명이 H.E.R.E 보다 압도적이라는 점을 보여주지는 못한다. 인간은 대상을 본질주의적으로 분류하려는 경향을 선천적으로 가지는 동시에 인간을 본질주의적으로 분류하는 문화적 사고를 상속받는다는 것 역시 동시에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진화인지과학의 설명이 H.E.R.E.을 압도하기 위해, 미국 아이들로부터 얻은 발생적 사례보다 더 광범위한 자료가 필요하다. 3.1. 문화전반에 걸친 혈통 본질주의의 질적 증거 3.1.1. 지중해인들과 현대 이전의 유럽인들 사례8 (Isaac 2004, Kamtekar 2002) 고대 그리스와 로마인들은 인간을 특정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각각의 국민적 성격과 그러한 차이의 기원을 가정했다. 또한 그들은.. 더보기
Mallon,『The Construction of Human Kinds』,_Part1_Ch1_S2 앞 절에서는 사회구성주의자들의 방식 –전수된 문화의 내용, 믿음의 내용에 대한 인간의 결정 따 따위 주목하는—에 초점을 맞추었다. 2절에서는 진화인지과학의 방식을 살펴보겠다. 표상에 대한 진화인지과학적 연구는 그것이 선천적이고 종-대표적이며 영역 특수적인 속성이라고 설명한다. (예컨대 습득, 형성, 기억, 유전 등에 대한 것이다.) 2.1. 일반 본질주의Broad Essentialism 지난 수십년간의 연구에 따른 결론은, 어린이들은 생물학, 인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직관적으로 “본질주의자”라는 것이다. “본질주의”란 무엇인가? Gelman은 본질주의를 다음과 같이 특징짓는다. “본질”은 한 범주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진실된 본성이며 직접적으로 관찰될 수는 없으나 대상의 정체성identity를 부여하는 .. 더보기
Mallon,『The Construction of Human Kinds』,_Part1_Ch1_S1 Chapter 1 인종race에 대한 개념은 현대 서양에서 발명된 것인가? 최근의 미국과 유럽 문화는 인종에 근거하여 사람을 표상한다. 우리는 왜 사람을 인종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인종에 근거하여 사람에 대해 추론하는가? 왜 인종적 표상은 지금과 같은 내용을 담는가? 인간에 대해 다루는 철학, 사회학은 인종에 대한 표상이 사회 구성주의적 방법을 통해 전적으로 설명된다는 것을 전제하는 듯하다. 이들에 의하면 인종에 대한 표상은 그것을 만들어 낸 문화적 배경, 역사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해되어야 한다. 그들이 공통으로 주장하는 바는 인종에 대한 최근의 개념은 19세기 즈음에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프레드릭슨, Hannaford, Puzzo 등은 현대인들의 인종개념은 그리스, 로마, 초기 기독교인들의 인종개념.. 더보기
Mallon,『The Construction of Human Kinds』, Introduction Ron Mallon 2016, Oxford 우리는 타인을 특정 범주들로 구별한다. 남성과 여성 등. §1 사회구성주의란 무엇인가? 정의1 X는 사회적으로 구성 된다 =df X의 존재, 지속, 특성은 인간의 정신상태, 결정, 문화 또는 사회적 실천에 의해 인과되거나 구성된다. Section 2 정의2 표상representation =df 그것을 통해 우리가 세계를 표상하고 행동을 조직하는 태도, 이론, 묘사 정의3 범주 =df 우리가 지칭하거나 이론화하려는 세계의 속성properties 또는 종kinds 정의4 종 =df 성공적인 이론 안에 포함되기에 충분히 중요한 범주 종의 상대성에 대하여_객관적인 종도 있으나 상대적인 종도 있다. 상대적이라 할지라도 유용할 수 있다. Section 3 표상 구성하기 철.. 더보기